:::

대만주간신보 대만주간신보

일제시기 타이완의 역사를 들려드립니다. <대만일일신보> 신문에 등장했던 주요 사건부터 타이완 엘리트들이 남긴 개인 일기와 콜롬비아사 레코드 등 타이완이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사료들을 바탕으로 일제시기 타이완에 살았던 사람들의 일상을 들여다봅니다. 타이완 역사에서 식민과 근대화, 동화와 발전, 자연과 개발 등 격변했던 일제시기를 살아낸 사람들의 목소리는 소중합니다. 타이완의 원주민과 한인, 그리고 일본인과 조선인까지, 일제시기 타이완에 살았거나 이곳을 여행했던 사람들의 목소리와 이야기를 모아 소개하겠습니다. 100년 전 타이완의 일상으로 들어가보시죠.

프로그램 알림 메시지

2023.03.28
일제시기, 친일과 반일을 넘어선 다원적 주체와 관계의 연구로

일본 제국의 식민지라는 같은 역사 과정을 거쳤음에도 일제시기를 바라보는 타이완인과 한국인의 관점은 사뭇 다릅니다. 이 시기를 표현하는 용어만해도 한국은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일본제국이 강제로 점령한 시기)'라고 하는 반면, 타이완은 ‘일치시기(日治時期, 일본제국이 ...더보기

2023.03.21
남국 풍경(南國風景)에서 현대 도시로, 타이베이의 도시화

지난 주 이노 카노리, 토리 류조, 모리 유시노스케 등 일본 인류학자들의 타이완 원주민 답사 과정과 그 연구물들을 살펴보며 일본인이 어떻게 타이완 원주민들과 조우했는지 살펴보았는데요. 이번 주에는 일명 “타이완 미술계의 아버지”이라고 불리는 서양화 화가 이시카와 긴이치 ...더보기

2023.03.14
타이완 문화인류학의 시작, 타이완 섬을 답사해 원주민족을 연구하다

일제시기 중반인 1925년 타이중 호우리(台中后里)에서 태어난 한 사내 아이는 자신의 가족인 하카인 외에도 마을 주변으로 민난인과 일본인, 핑푸족 원주민 등이 살고 있어서 어려서부터 다양한 종족 사람들의 언어와 생활양식을 듣고 보며 자랐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문화를 접 ...더보기

2023.03.07
타이완 여성교육의 살아있는 현장, 타이베이주립제3고등여학교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여성해방을 외치던 나혜석(羅蕙錫, 1896-1948) 화가이자 작가, 여성운동가는 ‘여성교육’이야 말로 기존 조선 사회가 갖고 있는 여성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녀는 여성의 역할을 아내/어머니에서만 찾는 기존 교육을 부정하고 개인 ...더보기

2023.02.28
영화 <1895>, 타이완 하카인의 항일운동

지금까지 를 약 두 달 간 진행하며 타이완의 항일 사건에 대해서는 한 번도 다룬 적이 없었습니다. Rti 한국어방송의 지난 프로그램에서는 타이완의 항일 관련 소재를 다룬 적이 여러차례 있었습니다. 타이완 최대 규모의 항일운동인 1930년 ‘우서사건(霧社事件)'을 다룬 ...더보기

1 2 3
上一頁下一頁

관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