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6천 제곱킬로미터의 토지 면적을 소유하고 있는 타이완은 70%가 산으로 덮여있고 게다가 3천 미터 이상 고산이 268개나 됩니다. 아열대 계절풍 기후와 열대 계절풍 기후의 두 가지 기후대에 있고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고산이 많아 자연생태가 상당히 풍부한 곳입니다.
타이완, 음식 천국
그런데 만약 여러분께 ‘타이완’을 한 번 연상해 보시라고 제안을 한다면, 어떠한 화면이 떠오르시나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타이완으로 여행을 오셨던 분들이라면 ‘음식'에 대해 깊은 인상을 남기셨을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음식문화가 매우 발달한 타이완은 지리적으로 국한된 타이완음식이 아닌 전반적인 중화요리를 아우르는 음식문화로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우선 요리 그러면 맛이 좋아야 하겠죠. 그런데 맛 뿐만 아니라 시각,후각이 함께 조화를 이뤄주면 더더욱 먹는 게 즐거울 겁니다.
볶고 튀기고 찌는 각종 조리법
평소 접하는 음식의 조리법으로 찌기, 삶기, 볶기, 튀기기, 부치기, 데치기, 끓이기, 찜, 굽기, 스튜 등이 있고, 쌀밥, 쌀국수, 분식 등 주식에 반찬으로는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해산물 등이 밥상의 보편적인 메뉴며, 이 외에는 각가지 채소 과일도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식입니다.
타이완 루러우판. -사진: jennifer pai
수백 년 이래 이곳에 정착한 사람들의 맛
현재 타이완에 살고 있는 약 2360만 명은 최근 수십 년 해외에서 이주해 온 신 이민을 비롯해 오랜 세월 동안 여러 시대에 걸쳐 특히 중국대륙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음식 문화가 매우 다채롭습니다. 이국적인 음식을 제외한 중국요리 만을 얘기한다면 광활한 중국대륙 각 지방 요리가 타이완에서 빛을 발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원래의 맛과 현지에서 새롭게 발전시켜 거듭난 요리들이 정말 많습니다.
본래 타이완의 음식문화는 연회 대접을 위한 큰상 요리보다 그저 평범한 집밥을 주로 했습니다. 그래서 타이완 음식은 신선한 재료에 더 중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든든히 먹는 학카 음식
이 외에 타이완 인구의 약 17%를 차지하는 학카(客家)인들의 음식도 대중들의 환영을 받고 있습니다.
학카 인들은 각종 농업에 종사하는 농민들이 대부분이어서 그들에게는 예로부터 배불리, 든든히 먹는 게 무엇보다 중요했다고 합니다. 그렇다보니 학카 음식에는 소금과 기름, 이중에서도 돼지 비계가 많이 들어 가는 게 특징입니다.
1949 중국에서 건너온 각 지방 음식문화
1945년 타이완이 일본 식민통치에서 벗어 났고, 1949년 중국대륙 중국국민당과 중국공산당의 내전에서 패한 고 장제스 총통은 당시 난징(南京) 국민정부를 타이완으로 철수하여 본토수복의 꿈을 키워봤으나 끝내 이뤄지지 못하였지만, 당시 국민정부를 따라 타이완으로 건너온 중국 각 지방의 국민들이 각 지방의 맛을 함께 가지고 오게 됐고, 그래서 색다른 음식문화가 타이완에서 형성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육면(쇠고기 국수, 뉴러몐)은 그중 가장 현저한 예인데, 각 지방의 우육면이 타이완에서 여러가지 맛의 우육면으로 재생하여 더 한층 발전해 매년 우육면 요리경연대회도 열 정도이며 세계 최고의 우육면은 타이완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jennifer p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