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송한 표현 해결사 -2024.03.09.
-관대하게 봐준다는 뜻의 ‘고대귀수’와 빠져나갈 길을 준다는 뜻의 ‘망개일면’.–
高抬貴手
고대귀수-까오타이꿰이서우
뜻: 관대하게 봐준다는 말로 보통 용서해 줌을 의미함.
출처: 송ㆍ소옹(邵雍, 생몰: 1012년~1077년) <사녕사승혜희이준ㆍ시〈謝甯寺丞惠希夷罇〉詩>
*소옹은 북송시대 오자(五子)로 공묘(孔廟)에 봉해진 선현 5명 가운데 1인으로 대유(大儒)의 칭호를 가지고 있음.
발음: 주음부호/한어병음/한국어(괄호 안은 성조)
- 高:ㄍㄠ/ gāo/ 까오(1)
- 抬:ㄊㄞˊ/ tái/ 타이(2)
- 貴:ㄍㄨㄟˋ/ guì/ 꿰이(4)
- 手:ㄕㄡˇ/ shǒu/ 서우(3)
網開一面
망개일면-왕카이이몐
뜻: 더 그물의 한 쪽을 벌려 놓다라는 말고 빠져나갈 길을 준다 또는 가볍게 처벌한다는 의미로 쓰임.
출처: 기원전 241년 <여씨춘추ㆍ맹동기ㆍ이용《呂氏春秋.孟冬紀.異用》>
발음: 주음부호/한어병음/한국어(괄호 안은 성조)
- 網:ㄨㄤˇ/ wǎng/ 왕(3)
- 開:ㄎㄞ/ kāi/ 카이(1)
- 一:ㄧˊ/ yí/ 이(2)
- 面:ㄇㄧㄢˋ/ miàn/ 몐(4)
오늘의 한 마디(괄호 안은 한국어 발음):
這是無心之過,還請您高抬貴手。
(쩌스 우신쯔꿔, 하이칭닌 까오타이꿰이서우.)
뜻: 이건 고의로 범한 착오가 아니니 너그러이 봐주십시오.
(這是쩌스 無心之過우신쯔꿔,還請您하이칭닌 高抬貴手까오타이꿰이서우。)
- 진행: 뤼쟈잉, 노혁이, 백조미 ,
- 해설: jennifer p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