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송한 표현 해결사 -2023.09.09.
-항상 그러하여 조금도 변화가 없다는 뜻의 ‘천편일률’과 형형색색의 천태만상을 비유하는 ‘오화팔문’. -
千篇一律
천편일률-치엔피엔이뤼
뜻: 여러 사물이 개성이 없이 모두 비슷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특히 사람의 행실이나 문장 따위가 모두 한결같이 비슷하다고 할 때 쓰임.
*보통 ‘한결같다’고 하면 좋은 의미도 지니고 있지만 ‘천편일률’의 경우는 경직하여 융통성이 없는 면을 가리킨다.
출처: 육조시대, 남조(南朝), 양(梁)나라, 종영(鍾嶸, 생몰: ?~518년)<시품ㆍ권중ㆍ진 사공 장화 시《詩品.卷中.晉司空張華詩》>
其源出於王粲。其體華豔,興託不奇。巧用文字,務為妍冶。雖名高曩代,而疏亮之士,猶恨其兒女情多,風雲氣少。謝康樂云:「張公雖復千篇,猶一體耳。」
기원출어왕찬. 기체화염,흥탁불기. 교용문자,무위연야. 수명고낭대,이소량지사. 유한기아녀정다,풍운기소. 사강악운: “장공수부천편/ 유일체이”
발음: 주음부호/한어병음/한국어(괄호 안은 성조)
千:ㄑㄧㄢ/ qiān/ 치엔(1)
篇:ㄆㄧㄢ/ piān/ 피엔(1)
一:ㄧˊ/ yí/ 이(2)
律:ㄌㄩˋ/ lǜ/ 뤼(4)
五花八門
오화팔문-우화빠먼
뜻: 다양한 모양, 천태만상을 의미하는데 본래의 ‘오화’와 ‘팔문’은 병법에서 쓰는 용어였음.
출처: 청.전영(錢泳, 생몰: 1759년~1844년) <이원총화ㆍ권16ㆍ정괴ㆍ장씨괴《履園叢話.卷一六.精怪.張氏怪》>
원문에서 쓰인 ‘오화팔문’은 병법에서 나오는 진을 치는 방법 ‘오화진’과 ‘팔문진’을 운용하여 다양한 모습을 보인 것을 비유할 때 쓰게 되어 지금도 병법보다는 그저 형형색색, 천태만상, 다양한 모습 등을 비유할 때 쓰게 되었음.
발음: 주음부호/한어병음/한국어(괄호 안은 성조)
五:ㄨˇ/ wǔ/ 우(3)
花:ㄏㄨㄚ/ huā/ 화(1)
八:ㄅㄚ/ bā/ 빠(1)
門:ㄇㄣˊ/ mén/ 먼(2)
오늘의 한 마디(괄호 안은 한국어 발음):
現在網路世界五花八門,千萬不要被詐騙了。
(시엔짜이 왕루 스쩨 우화빠먼, 치엔완 부야오 뻬이 짜피엔러.)
뜻:현재 인터넷(사이버) 세계는 천태만상이 다 있으니 이에 절대로 사기를 당해서는 안 될 것이다.
(現在시엔짜이 網路왕루世界스쩨 五花八門우화빠먼,千萬치엔완不要부야오 被뻬이詐騙了짜피엔러。
진행: 뤼쟈잉, 노혁이, 백조미
해설: jennifer p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