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運籌帷幄_운주유악, 枕戈待旦_침과대단

  • 2023.03.18
아리송한 표현 ‧ 해결사
(자료 화면)육군 진먼(金門)방위지휘부는 우리 상공을 넘나드는 중국 드론을 향해 경고 사격으로 대처하고 있다. -사진: 국방부 국군신문사 제공

아리송한 표현 해결사  -2023.03.18.

-장막 안에서 작전을 세운다는 말로 전술전략을 세운다는 뜻의 운주유악과 무기를 베개 삼아 잠자며 아침을 기다린다는 말로 틀 전투태세를 갖추고 긴장을 놓치지 않는다는 뜻의 침과대단’ -

 

運籌帷幄

운주유악-윈처우웨이워

: 장막 안에서 작전을 짠다는 말로 전술과 전략을 세운다는 뜻으로 쓰임.

*帷幄(유악): 군에서 쓰는 장막을 뜻하는데 보통 기밀을 논의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출처: 한. 사마천(司馬遷, 생몰: 기원전 약 145년~미상)<사기. 태사공 자서《史記.太史公自序》>

*진나라 말기 한-초의 격전 끝에 초패왕으로 불리는 항우가 자결하면서 드디어한나라 왕조가 정식으로 출범하였고 한고조 유방은 나라가 안정되는 시점에 군신들을 모아 연회를 베풀 때 항우는 왜 패배했고 자신은 어찌 한 국가를 세운 임금이 되었는가를 신하들에게 물으며 만족스러운 답을 얻지 못해 스스로 ‘운주유악’이라는 말을 한 데서 유래함. 유방은 특히 장량, 소하, 한신을 등용하여서 제왕이 되었다는 말을 했었다.

 

발음주음부호/한어병음/한국어(괄호 안은 성조)

ㄩㄣˋ/ yùn  / 윈(4)

ㄔㄡˊ/ chóu / 처우(2)

ㄨㄟˊ/ wéi / 웨이(2)

ㄨㄛˋ/ wò / 워(4)

 

枕戈待旦

침과대단-쩬꺼따이딴

: 무기를 베개 삼아 잠을 자며 아침을 기다리며 적과 싸울 결심을 의미함. 특히 항상 준비 태세를 갖추고 긴장을 놓치지 않는다는 의미로 많이 쓰임.

출처: 진(晉) 손성(孫盛, 생몰: 서기302-373년) <진양추《晉陽秋》>

*《晉陽秋》’진양추’는 동진시대 손성이 편찬한 편년체 晉나라 史書임

*는 창의 일종으로 중국 은나라(기원전 17세기~기원전 11세기) 때 무기로 많이 쓰였던 것이며, 갑골문에서 나/아(我)자를 보면 ‘과’라는 무기를 가지고 스스로를 보호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음.

 

발음주음부호/한어병음/한국어(괄호 안은 성조)

ㄓㄣˋ/ zhèn / 쩬(4)

ㄍㄜ/ gē / 꺼(1)

ㄉㄞˋ/ dài  / 따이(4)

ㄉㄢˋ/ dàn / 딴(4)

 

오늘의  마디(괄호 안은 한국어 발음):

因為教練的運籌帷幄,使中華隊打贏義大利隊。

(인웨이 짜오리엔더 윈처우웨이워, 스 쫑화뛔이 다잉 이따리뛔이)

뜻: 코치의 사전 전술 계책으로 인해 중화팀이 이탈리아팀을 이길 수 있었다.  

(因為인웨이 教練的짜오리엔더 運籌帷幄윈처우웨이워,使中華隊쫑화뛔이 打贏다잉 義大利隊이따리뛔이)

*使…()로 하여금

*: 팀 싸움

*打贏: (운동 경기/ 게임 / 전쟁)에서 이기다/ 승리하다

*義大利: 이탈리아

 

진행: 뤼쟈잉, 노혁이, 백조미

해설: jennifer pai 

프로그램 진행자

관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