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송한 표현 해결사 – 2022.07.02-
-착실하게 일에 임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각답실지’와 현실을 벗어나 과한 걸 추구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호고무원’–
腳踏實地
각답실지-쟈오타스띠
뜻: 성실하며 착실하게 일에 임하는 사람을 가리킴.
출처: 송 소옹(宋·邵雍, 생몰: 1012-1077) <소씨문견전록. 권18《邵氏聞見前錄》卷十八> 소옹은 <자치통감《資治通鑑》>을 편찬한 사마광(司馬光)를 가리켜 「君實腳踏實地人也。」 그는 착실한 사람이라고 평가한 데서 유래됨.
발음: 주음부호/한어병음/한국어(괄호 안은 성조)
腳:ㄐㄧㄠˇ/ jiǎo / 쟈오(3)
踏:ㄊㄚˋ/ tà / 타(4)
實:ㄕˊ/ shí / 스(2)
地:ㄉ一ˋ/ dì / 띠(4)
好高騖遠
호고무원-하오까오우위안
뜻: 현실을 벗어나 개인의 능력에 맞지 않는 과한 걸 추구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여기에서 ‘騖(무)’는 질주하다, 달리다를 뜻함.
출처: <송사. 권427. 도학열전1. 정호《宋史.卷四二七.道學列傳一.程顥》> 학자들은 흔히 접할 수 있는 것을 꺼리며 높고 멀리 있는 곳으로 달려가려는 병이 있다 「病學者厭卑近而騖高遠,卒無成焉。」라며 점진적으로 착실하게 학문과 지식을 쌓지 않는 사람들을 지적한 데서 유래됨.
발음: 주음부호/한어병음/한국어(괄호 안은 성조)
好:ㄏㄠˋ/ hào / 하오(4)
高:ㄍㄠ/ gāo / 까오(1)
騖:ㄨˋ/ wù / 우(4)
遠:ㄩㄢˇ/ yuǎn / 위안(3)
오늘의 한 마디(괄호 안은 한국어 발음):
他做事腳踏實地,不好高騖遠。
(타쭤쓰쟈오타스띠, 부하오까오우위안.)
뜻: 그는 일에 착실하게 임하며 과한 걸 추구하는 사람이 아니다.
(他타 做事쭤쓰 腳踏實地쟈오타스띠,不부 好高騖遠하오까오우위안。)
진행: 뤼쟈잉, 노혁이, 백조미
해설: jennifer p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