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원주민 작가이자 의사인 토바스 타마피마(拓拔斯•塔瑪匹瑪, Tulbus Tamapima)는 1960년 6월 27일 난타우(南投)현 신이(信義)향 부농(布農)족 부락에서 태어났습니다. 18세인 1978년 가오슝의학원(현 가오슝의학대학교) 공비 장학생으로 선발되고 의학과 학생이 됐습니다. 대학시절 동안 학교의 문학 동아리 ‘아미바시사(阿米巴詩社)’에 가입하여 한족 이름 티엔야거(田雅各)로 동아리가 운영하는 잡지 ‘아미바시간(阿米巴詩刊)’에 시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전달하려는 이야기를 더욱 완전하게 독자들에게 알리고 싶으면 시보다 소설을 이용하는 게 더 낫다는 생각이 들어서 소설로 창작 장르를 바꿨습니다. 1983년 10월 자신의 이름을 딴 소설 <토바스 타마피마>로 제2회 ‘남행(南杏)문학상’ 2등(1등 수상자 없음)으로 선정이 되면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이때부터 원주민 이름으로 활동하기 시작했습니다. 1985년 의학원 졸업 후 토바스 타마피마는 외딴섬 란위(蘭嶼)로 가서 근 4년 동안 현지의 원주민 다우(達悟)족인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이후 가오슝, 화롄, 타이둥 등 지방 의료기관에서 의사로 근무한 적이 있으며 현재는 고향인 난터우현에서 은퇴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토바스 타마피마의 작품 가운데 《마지막 사냥꾼(最後的獵人) 》과 《연인과 창녀(情人與妓女)》, 《란위에서의 의사생활(蘭嶼行醫記)》 등 3개 작품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마지막 사냥꾼》은 1985년에 발표한 소설집으로 1986년 우줘류(吳濁流)문학상을, 1991년 제1회 라이허(賴和)문학상을 수상하여 타이완 문학계에서 원주민 작가로서의 위상을 확립하고 원주민 문학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높였습니다. 부농족은 타이완 중부 고산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사냥과 농경이 주요 생계 수단입니다. 《마지막 사냥꾼》은 바로 부농족의 사냥 생활 및 사냥과 관련된 금기, 무술(巫術), 종교 의식 등을 다루고 있으며 정부에 의해 원주민의 사냥의 권리가 박탈됐다는 내용도 담고 있습니다.
《연인과 창녀》는 토바스 타마피마가 1992년 발표한 소설집으로 10 편 단편 소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의사생활을 하면서 많은 원주민과 만나게 되고 각 부족 원주민들의 생활과 문화에 대해 더 알게 돼서 그런지 그는 《연인과 창녀》를 작성할 때 부농족 이야기에 국한되지 않고 기타 부족 원주민들의 이야기도 소재로 활용했습니다. 예를 들면 <구세주가 왔다(救世主來了)>와 <비천 및 분노(卑賤與憤怒)>는 다우족의 사회적 문제를, <이름을 찾다(尋找名字)>는 원주민의 정명운동을, <연인과 창녀>는 부락을 떠나 창녀로 전락한 타이루거(太魯閣)족 여자의 비극적 운명을 다루고 있습니다.
<연인과 창녀>에서 한 남의사가 타이루거족 부락에서 무료 진료 활동을 하면서 한 타이루거족 여자와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의사는 도시로 돌아간 후에도 한참 편지를 통해 여자와 꾸준히 연락을 주고받다가 어느날부터 다시는 그 여자로한테 소식이 오지 않습니다. 몇 년 후 의사는 우연히 여자와 만나게 되고 여자가 아버지가 죽은 후 가정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도시인에게 속아 창녀가 된 사실을 알고 여자를 성매매하는 생활에서 벗어나게 해주고 싶지만 여자는 “이 세상에서 내 고향만이 나를 가장 배려해주지만 내 신분이 그를 오염시킬 수 있으니까 난 돌아갈 자격이 없어”라고 하며 의사의 도움을 거절하게 됩니다. 1980년대 타이완 사회에서 성매매의 현상이 매우 심각했으며 당시 가족의 생계를 위해 몸을 판 여성 원주민들이 매우 많았습니다. 그래서 <연인과 창녀>는 그때 원주민들의 어려운 삶, 특히 원주민 여성들의 비참한 처지를 반영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사냥꾼》과 《연인과 창녀》 외에도, 1998년에 발표한 산문집 <란위에서의 의사생활>은 토바스 타마피마의 대표작입니다. 이 산문집은 73편의 산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가 란위에서 3년 8개월 동안 의사생활을 하면서 경험했던 일들을 소재로 한 것입니다. 이 산문집에서 토바스 타마피마는 외래 의사로서 란위의 의료자원 부족 현상과 란위섬이 방사성폐기물처리장으로 사용돼서 현지 원주민인 다우족이 직면하게 된 문제, 다우족인들의 소박하고 낙천적인 생활 태도 등을 서술했습니다.
토바스 타마피마는 의사로서는 원주민을 위한 의료 서비스 제공과 외딴 지역의 의료 품질 향상에 심력을 많이 기울여서 ‘타이완 원주민의 슈바이처’라는 칭호를 받었으며, 작가로서는 사려 깊은 마음으로 원주민의 문화, 역사와 현재 처한 현실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얻게 된 깨달음을 소재로 문학 창품을 만들어 독자들로 하여금 타이완 원주민에 대해 더 알 수 있도록 했습니다. 토바스 타마피마는 타이완을 대표하는 원주민 작가 중 하나라서 포르모사문학관 시간을 통해 소개해봤는데요. 다음주도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가지고 돌아올 테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