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남부 가요숭에 있는 메이농(美濃)이라는 지역에서 기름을 먹인 종이에 아름다운 그림이 채색된 수제작 우산을 살 수 있는데 이러한 우산은 유지우산(油紙傘)이라고 합니다.
유지우산은 중국에서 유리된 것으로 언제 또 어떻게 타이완으로 전해졌는지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하나는 일제강점기에 메이농 주민 우전싱(吳振興)과 린아구이(林阿貴)가 중국 광둥의 유지우산 장인을 타이완으로 초청해 기술을 전수하도록 했다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광둥 출신 유지우산 장인 궈위친(郭玉琴)이 타이완으로 건너와 가오슝 메이농에 정착하면서 유지우산 제작 기술이 메이농 지역에 도입됐다는 설입니다. 메이농의 유지우산 기술은 광둥에서 전해진 것이므로 과거 메이농 유지우산을 생산하는 공장이나 가게의 이름은 대부분 광전싱(廣振興), 광더싱(廣德興), 광롱싱(廣榮興), 광메이싱(廣美興) 등과 같이 '광’이라는 글자로 시작합니다.
메이농은 하카족이 90% 이상을 차지하는 지역으로, 발달한 하카족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이러한 폐쇄적인 지리적 환경으로 인해 외부와의 소통과 개입이 비교적으로 적기 때문에 메이농은 타이완에서 전통 유지우산 문화를 가장 완전하게 보존하고 있는 지역입니다. 메이농에는 1960년대 전성기에는 20개가 넘는 유지우산 공장이 있어 연간 2만 개 이상의 유지우산을 생산하며 담뱃잎, 쌀과 함께 메이농 지역의 3대 주요 제품으로 생산되고 판매됐습니다. 그러나 1960년대 중기 타이완 공업이 급속히 발전하고 기계로 만들어진 저렴하고 내구성이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플락스틱 우산이 점차 보급되면서 유지우산은 쇠퇴의 길을 걷게 되고 유지우산 공장과 가게도 잇따라 문을 닫아버렸습니다.
그러다가 1970년대 에코 매거진(Echo magazine) 영문판, 영국 BBC 등 언론매체들이 보도에서 메이농 유지공산을 소개했고, 또 1980년대 메이농에서 촬영된 타이완 드라마 〈별들이 내 마음을 알아(星星知我心)〉가 일본에서 방송돼 큰 인기를 받으면서 메이농 유지우산도 일본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고 수출량이 크게 늘어나며 타이완 유지우산 산업의 쇠퇴를 감속하였습니다. 1980년대 이후에는 타이완 민생이 점점 부유해지고 관광 산업도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메이농 유지우산은 비를 막기 위해 쓰는 일상용품에서 점점 소장용이나 장식용 예술품으로 탈바꿈하게 됐습니다.
우산을 선물하는 것은 민남인에게는 예의가 아니지만 하카인에게는 좋은 의미로 반아들여집니다. 민남 문화에서는 우산의 산(傘)은 흩어질 산(散)과 발음이 비슷해 헤어지다는 의미를 갖게 되어서 우산은 금기 선물에 속합니다. 그러나 하카 문화에서는 유지우산은 남자의 성년례와 여자가 시집으로 가지고 가는 물품으로 이용됩니다. 유지우산의 종이 지(紙)자가 아들 자(子)와 발음이 비슷하고, 또 기름 유(油)자는 있을 유(有)자와 유사한 발음을 가지고 있으므로 유지우산을 혼수용품으로 마련하는 것은 “어서 귀한 자식 보셨으면(早生貴子)”하는 바람 때문입니다. 이 외에도, 우산의 산은 사람 인(人)자 네 개가 들어 있어 “자손이 많다”는 것을, 또 우산은 펼졌을 때 원형으로 보이기 때문에 “결혼생활이 원만하다”는 것을 상징하는 것도 왜 하카인이 유지우산을 여자의 혼수용품으로 이용하고 있는 원인입니다.
우산은 로맨스 드라마와 로맨스 영화에서 자주 나오는 도구인데, 중국 신화전설에서 나오는 가장 대표적인 우산 로맨스는 ‘백사전(白蛇傳)’입니다. 백사전은 중국의 4대 민간 애정소설 중 하나로, 모르는 타이완인이 없을 겁니다. 아름다운 경치를 자랑하는 항저우(杭州)의 시후(西湖)에 놀러온 뱀 요괴 백소정(白素貞). 봄비가 내리자 젊은 서생 허선(許仙)에게 우산을 빌리게 되는데, 그러면서 알게 된 두 사람은 사랑에 빠지게 되고 부부가 됩니다. 백사전에서도 그렇고 하카 문화에서도 그렇고 우산은 이별이 아닌 연분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유지우산은 시집가는 딸과 갓 성인이 된 아들에 대한 축복의 선물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자리에서는 액막이 도구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신명이 순례할 때나 종교적인 행사 또는 축제에서 나쁜 귀신이나 영령이 다가와 행사를 방해하거나 좋지 않은 기운을 가져올 수 있는데, 이때 팔괴이나 신선, 태극 등 도안이 그려진 유지우산을 사용하면 악한 귀신을 물리치고 나쁜 기운을 몰아낼 수 있다고 합니다.
유지우산을 만들려면 대개 5개의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우선, 수공으로 깎아 만든 댓살로 우산살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 다음은 우산살에 종이를 붙이고 햇볕에 말립니다. 이후 유지우산에 아름다운 글씨나 그림을 그립니다. 그 다음은 유지우산 표면에 천연 방수제인 유동나무 기름를 바릅니다. 마지막으로는 우산 손잡이를 창작하면 유지우산 하나가 완성됩니다. 실은 옛날의 메이농 유지우산은 그림이 없어 매우 심플하고 소박했으나 1960년대부터 새 요소를 불어넣음을 통해 유지우산의 쇠퇴를 막기 위해 장인들이 유지우산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이때부터는 유지우산은 비를 막아주는 도구에서 소장가치가 있는 예술품으로 역할이 변화됐습니다.
유지우산에 그려진 도안은 크게 메이농의 건축물, 미인도, 산과 물, 동식물, 서예, 종교 인물 등 6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중 옌로우(菸樓), 징즈팅(敬字亭), 동먼로우(東門樓)와 같은 메이농의 대표적인 건축물은 가장 관광객과 수장가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또 꽃이 그려진 우산은 여자들이 비교적으로 선호하는 우산인데 이는 꽃은 하카인들의 민족적 정신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매화는 하카 여성들의 근면하고 끈기있는 성격을 상징하고, 난초는 하카 여성들의 단순함과 순수함을 상징합니다.
메이농 유지우산이 어떻게 생겼는지가 궁긍하시고 또 메이농의 하카 문화도 체험하고 싶으시면 메이농에서 유지우산을 테마로 한 최초의 문화단지인 ‘위안샹위안 종이우산문화촌(原鄉緣紙傘文化村)’을 방문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거서 아름답고 다양한 유지우산을 직접 제작하거나 구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이농의 또 다른 명물인 도자기도 구경하고 체험할 수 있고, 하카의 맛있는 음식도 맛보실 수 있는데요. 청취자 여러분께 추천드립니다~